PHARMACEUTICAL & BIO-PHARM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제약바이오융합교육센터

보험약가교육

> 교육소개 > 보험약가교육
참조이미지
보험약가교육(K-TCP: KPBMA Training Course in Pricing)은 국내 약가제도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의약품 등재 사례와 더불어 정부의 보험의약품 관리 정책 방향을 공유한다. 제약사 약가 담당자들의 전문성 강화와 실무 활용도 제고를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 교육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교육내용

보험약가교육 교육내용
1) 보건의료 및 보험약가정책의 개요
  • 가) 보험약가제도 개론
  • 나) 보건의료와 건강보험 지불 제도
  • 다) 약가 제도의 이론적 고찰
  • 라) 보험약가 등재 · 조정 동향
  • 마)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제약산업체에 미치는 영향
  • 바) 신포괄수가제 개요 및 산업계 관련 주요 이슈
  • 사) 보험의약품 사후 관리 제도이 이해
  • 아) 리베이트 제재 기준의 명확화 방안
2) 의약품 등재 규정 및 실무 사례
  • 가) 신약의 보험등재 과정
  • 나) 약가 협상 제도의 이해
  • 다) 신약 특성에 따른 등재 전략
  • 라) 산정기준 규정 및 사례
  • 마) 사후 약가 인하 규정의 이해
  • 바) 제약관련 주요 대법원 소송
  • 사) 기준비급여의 급여화
  • 아) 약제의 요양급여대상여부 평가기준 및 절차
3) 정부의 보험의약품 관리 정책 방향
  • 가) 건강보험 고비용의약품 현황과 관리방안
  • 나)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 다) 건강보험과 약가 관리 방안
  • 라) 의료기술평가(HTA)에 있어서 주요국의 Real World Data의 활용 현황
  • 마)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과 보험약제 정책
  • 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약품비 관리정책
  • 사) 보건복지부의 보험약제 정책방향